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

OBS 특집 다큐멘터리 방송

‘지붕 없는 박물관, 100일간의 기록’


OBS는 특집 다큐멘터리 <지붕 없는 박물관, 100일간의 기록> 12월 8일 방영됐다.


지붕 없는 박물관은 다른 말로 에코뮤지엄이라 하는데,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건4년 전 부터다.


에코뮤지엄은 1970년대 프랑스박물관 총회에 등장한 혁신적인 박물관 개념으로, 환경. 생태 등을 의미하는 에코(eco)와 박물관을 뜻하는 뮤지엄(Museum)을 결합한 말이다.

 

오랜 수집품을 전시해 놓고 설명하는 박물관이 아닌, 지역 고유의 생태적 환경, 역사적 장소, 지역민의 삶의 이야기를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발전, 계승해 나가 지역 활성화를 이뤄내는 것이 지붕 없는 박물관이다.
 
우리나라도 2016년부터 지붕 없는 박물관, 에코뮤지엄을 시작했다.


시흥-화성-안산을 잇는 서해안 528km의 경기만의 자연과 생태, 역사와 문화 속에 숨겨진 유산을 발굴하고 그 가치를 재발견하는 ‘경기만 에코뮤지엄’ 활동을 4년 째 펼쳐 나가고 있는데, 올 해는 동두천, 남양주, 파주 등 경기 북부의 움직임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천혜의 생태자원을 지닌 군사적 접경지대, 경기북부에는 한국 전쟁 이후, 미군의 주둔으로 미군과 공생한 동두천이 있고, 그 곳에는 기지촌이라는 오명 아래 살아야 했던 사람들이 있다.

 

스스로 마음의 문을 닫고, 마을 안에서도 분열된 모습으로 개인의 삶을 살아왔던 사람들은, 지붕 없는 박물관을 통해  마을을 새롭게 바라보고, 이웃에 관심을 갖으며 걸어놓은 마음의 빗장을 풀어가고 있다. 

 

또, 남양주에서는 개인의 소유로 지금까지 공개 되지 않다 올 해, 시에 기증된 궁집(宮)을 지역 고유의 유산으로 기록하는데 힘쓰고 있으며, 파주에서는 실향민들의 생애와 지역 고유 음식도 박물관이 될 수 있음을, 지붕 없는 박물관을 통해 전하고 있다.  

 

다큐멘터리의 내레이션을 맡은 배우 안정훈은, "그 동안 스스로 보잘 것 없는 삶이라 여겼던 할머니의 생애가  마을박물관에 담겼을 때, 자신의 인생을 바라본 할머니의 모습이 잊히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한, 지역 공동체를 회복시키는 지붕 없는 박물관의 힘에 놀랐고 전국 각 지역에서 이런 다채로운 발견이 계속되기를 기대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다큐는 지역의 보물 같은 이야기를 미래의 유산으로 남기기 위해 마음으로 뛰는 사람들, 그리고 숨겨진 보물을 찾아내는 과정에서 회복되어가는 공동체, 그 감동의 이야기를 전한다.

 



Today

더보기

경제

더보기
강화군, 北 핵 폐수 방류 의혹에 긴급 수질조사 실시
강화군(군수 박용철)은 최근 제기된 북한의 핵 폐수 방류 의혹과 관련해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에 요청해 3일 오전 강화 서쪽 해역에 대한 긴급 수질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수질조사는 북한 황해북도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에서 방사성 폐수가 무단으로 방류돼 강화만으로 흘러들었다는 의혹에 따라 실시됐다. 지난 1일 원자력안전위원회 측정 결과 '정상'이라고 발표했지만, 일부 주민들의 불안감은 여전한 상황이다. 강화군은 의혹이 제기된 만큼 군민 안전을 위해 정확한 사실관계를 확인해야 하며, 강화만 수역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에 따라 군은 의혹이 본격적으로 불거진 지난 6월 26일과 30일, 경인북부수협과 긴급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으며 국회와 정부, 인천시에 명확한 사실 확인을 요청했다. 이에 3일 오전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이 긴급 수질조사에 나섰으며, 강화군 행정선을 이용해 삼산면 하리 선착장을 출발해 바닷물 채수 작업을 실시했다. 조사 지점은 ▲주문도 서남방 해역 ▲교동대교 남단 ▲서검도 서쪽 해역이다. 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정기적으로 주문도 서남방 해역에서 수질조사를 해 왔으나, 이번 의혹으로 조사 지점을 강화 서북단 해역까지 확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