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피플

[신년사] 이재준 고양시장

[신  년  사]

새해라는 단어를 2021년만큼 기다렸던 적이 없었던 듯 합니다.

놀이터에서 사라진 아이들의 웃음소리,
연말연시 북적임을 잃은 텅 빈 번화가,
마을 정자에서 사라진 바둑 두는 어르신,

어느 하나 감당하기 힘든 무게들이었습니다.
시장으로서 어느 해보다 마음 아프고 무거웠던 2020년이었습니다.

코로나19는 갑작스럽게 찾아온 감염병이 아니라,
오래 전부터 서서히 찾아왔던 사회의 깊은 아픔이었습니다.

대면서비스 중단으로 돌봄의 공백에 놓인 취약계층,
폭주하는 업무량 속에 숨져간 수십 명의 배달노동자,
폐업 위기에 놓인 영세 자영업자까지
코로나19는 우리 사회가 품고 있던 문제들을 고스란히 보여주었고,
사회의 안전불감증이 아닌 ‘고통불감증’을 드러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우리는, 공동체를 통한 가능성도 보았습니다.
시민들은 소중한 일상을 저마다 품에서 꺼내 방역에 보탰습니다.
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 안심콜 출입관리, 비대면 진료 등
정답은 아니더라도 해답을 함께 만들어 냈습니다.

‘좋은 위기를 낭비하지 말라’는 윈스턴 처칠의 명언처럼,
우리는 지금 위기와 희망이 교차하는 지점에 서 있습니다.
코로나19 이전의 도시를 넘어 약자의 권리까지 함께 포용하는
새로운 도시를 향한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

2021년이 모두가 바라던 진정한 ‘새해’가 될 수 있도록,
우리는 코로나19 이전의 도시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소외된 약자의 권리까지 함께 포용할 수 있는 더 새로운 도시로
거대한 항해를 시작해야 합니다.
그렇게 될 수 있도록 고양시도 함께 노력하겠습니다.

최근 고양시에는 기쁜 소식이 있었습니다.
92년 시 승격 이후 인구 팽창을 거듭해 왔던 고양시가
30년 만에 ‘특례시’로 지정되며
108만 대도시 규모에 맞는 권한과 위상을 갖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고양시는 외연적인 성장에 안주하지 않고,
도시의 속을 촘촘히 채워 가겠습니다.
낡은 제도를 하나하나 고치고, 미래를 위한 예산을 차근차근 비축하고
일산테크노밸리, 킨텍스 제3전시장 등 100만 평 경제지도를 완성하며
도시의 마음을 더욱 알차게 채워 가겠습니다.

우리의 일상은 멈추었지만, 도시는 움직여야 합니다.
108만 시민과 함께 다시 희망의 한 해를 그려내겠습니다.



Today

더보기

경제

더보기
김포시, 대명항에서 즐기는 선상 다이닝 '2025 김포 선셋 페스타' 열린다
아름다운 석양을 배경으로 선상 다이닝을 즐길 수 있는 특별한 축제가 김포에서 열린다. 오는 25일 단 하루, 토요일 오전 11시부터 밤 8시 30분까지 대곶면 김포함상공원 일원에서 '2025 김포 선셋 페스타 with 로컬푸드 다이닝'이 개최된다. 김포시가 주최하고 김포시와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김포함상공원 갑판의 아름다운 석양을 배경으로 한 선상 다이닝을 비롯해, 로컬푸드 장터와 쿠킹쇼, 만들기 체험, 버스킹 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행사장에서는 인근 대명항 어판장의 꽃게·전어·소라 등 제철 수산물과 농축산물을 직접 구워 먹을 수 있는 셀프 바비큐존, 맛집 쿠킹쇼, 마켓존 등 다양한 로컬푸드 프로그램과 더불어 마린 키링·함선 만들기, 반응형 AR 기반 함상 방탈출 게임 등 여러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특히, 축제의 대미를 장식할 선셋 다이닝 프로그램은 아름다운 석양을 배경으로 운봉함 갑판 위에서 즐기는 고급 케이터링과 더불어 재즈 연주, 뮤지컬 갈라쇼 등 다채로운 선상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으며 선착순 유료 예약(070-8892-4020)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함상 석양을 배경으로 로컬푸드 미식과 문화 콘텐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