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4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ㅣ행정

[기고문]좋은 정치를 위한 연료 정치후원금

깨끗한 정치문화 조성을 위해 소액다수에 의한 정치후원금 기부문화가 반드시 자리 잡기를 바래

최근 「부자들은 왜 민주주의를 사랑하는가」라는 책을 읽었다.

이 책에서는 세계 최고의 자본주의 국가인 미국에서 억만장자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하여 어떤 방법으로 정치인을 지원하거나 정치권력을 이용하는지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자동차가 움직이는데 연료가 필요하듯 정치인들이 정치활동을 하려면 많든 적든 필수적으로 자금이 소요된다. 그리고 이러한 정치자금이 어디에서부터 나오느냐는 것은 정치가 추구하는 방향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만일 정치활동에 필요한 자금을 개인재산으로 충당한다든지 특정인 또는 이익단체 등 소수에 의존하여 조달하는 경우에는 불법적인 정치자금 수수의 유혹에 빠지기 쉽고, 정치자금을 조달해 준 이익단체에 유리한 정책이나 법률만을 추진하는 과오를 범할 우려가 있지만, 소액 다수에 의한 정치후원금을 지원받는다면 이러한 우려에서 벗어나 다수의 국민들을 위한 정치를 펼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끊임없이 되풀이 되는 정쟁들을 보면서 왜 우리가 정치들에게 후원금을 지원해줘야 하느냐고 되물을 수도 있다. 그러나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소설가인 토마스 만(Thomas Mann, 1875 ~ 1955)의 ‘정치를 혐오하는 국민은 혐오스런 정치를 가질 수밖에 없다.’는 말을 떠올리면 우리가 정치혐오가 혐오스러운 정치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끊어내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정치후원금에는 개인이 후원하고자 하는 정당이나 정치인의 후원회에 직접 기부하는 “후원금”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기부해 법에 정해진 기준에 따라 각 정당에 나누어 지급하게 되는 “기탁금”이 있다.


특히, 기탁금의 경우 정치활동이 금지되는 공무원이나 각급 학교의 교원 등도 기부가 가능하다.


여기에 더해 정치후원금 기부 시 조세특례제한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연말정산에서 10만 원까지 전액 세액공제로 돌려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정치후원금을 기탁하면 깨끗한 정치문화를 조성할 뿐만 아니라, 세제혜택까지 주어지니 일석이조가 아닐 수 없다. 아울러, 금전으로 하는 기부가 부담스러운 분들을 위해 잠자고 있는 신용카드 포인트로도 후원할 수 있는 방법도 마련돼 있다.


좋은 연료를 넣으면 자동차의 컨디션이나 대기환경에도 좋겠지만 유사휘발유와 같은 나쁜 연료를 넣는다면 자동차도 금방 고장이 나고 배기가스도 더 많이 내뿜게 될 것이다.


지금 우리 정치에 필요한 것은 소액다수에 의한 정치자금 기부라는 좋은 연료일 것이다. 많은 국민들이 기대하는 올바르고 깨끗한 정치문화 조성을 위해 소액다수에 의한 정치후원금 기부문화가 반드시 자리 잡기를 바래 본다.



Today

더보기

경제

더보기
인천 서구, 치매안심마을 6개 동으로 확대 운영
인천 서구(구청장 강범석)는 지난 22일, 가정1동을 서구의 여섯 번째 치매안심마을로 지정하고 이를 기념하는 선포식을 열었다. 이와 함께, 주민 대상 홍보부스를 운영해 치매안심마을의 의미와 주요 사업을 안내했다. '치매안심마을'은 지역주민들이 치매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고, 치매예방에서 돌봄까지 함께 참여하는 마을 단위의 치매친화적 환경 조성 시스템이다. 이에, 치매친화적 환경조성을 위해서 2019년 연희동 치매안심마을 지정을 시작으로 오류왕길동, 불로대곡동, 가좌4동, 석남2동으로 점차 확대해 운영해왔으며, 올해 가정1동을 추가로 선정함으로써 총 6곳으로 확대했다. 치매안심마을에서는 주민대표 운영위원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치매예방을 위한 찾아가는 치매조기검진 및 치매예방교실 운영 ▲대상자 맞춤형 사례관리 ▲치매안심가맹점 지정 및 관리 ▲치매인식개선 캠페인 등 다양한 주민 참여형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서구치매안심센터장은 "가정1동의 치매안심마을 지정이 치매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지역 내 이해와 배려 문화가 자리 잡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며 "치매환자와 가족뿐 아니라 지역 주민 모두가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